대구대학교 임상영양사 교육과정
1. 임상영양사 국가자격 취득관련 정보
1) 임상영양사의 정의 및 업무
임상영양사란 『보건의료인력지원법』에서 정의하는 보건의료인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영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질병에서 회복되어 건강한 삶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전문인이다. 2010년 국민영양관리법이 제정되면서 국가에서 자격을 부여하는 임상영양사 자격제도가 도입되었고, 대구대학교는 2012년 8월에 보건복지부 인증 임상영양사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임상영양사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 임상영양사의 자격기준
임상영양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영양사 국가면허증을 소지하고, 대학원 임상영양사교육과정에 진학하여 2년간 법에서 명시한 교육과정 과목별 이수 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이후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임상영양사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하는데, 임상영양사 국가면허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병원, 보건소, 급식업체 등 에서1년 이상 영양사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필요하다.
대학원 입학 전에 실무경력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임상영양사교육과정을 수료하면 바로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2.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임상영양사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대구대학교 임상영양사 교육과정의 교육목적은 임상영양학 이론과 응용방법을 교수‧연구하고 임상영양서비스에 요구되는 실무능력을 배양하여 지역사회의 건강복지 실현에 봉사하고 인류의 건강 및 복지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영양전문가를 양성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임상영양교육과정 재학생들은 병원, 보건소 또는 관련 의료기관에서 영양판정, 영양상담, 영양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지식을 학습하고, 임상영양사로서 실무역량 배양을 위해 레지던트 수련병원 급의 대형병원에서 체계적인 실습을 수행하게 된다.
3. 임상영양사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1) 이론 교과목 (각 과목당 3학점, 총 18학점)
고급영양이론, 병태생리학, 임상영양치료 I, 임상영양치료 II,
고급영양상담 및 교육, 임상영양연구
2) 임상영양실습 (총 8학점)
임상영양 실습교육은 본교의 협약병원인 대구파티마병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20년 이상 경력의 임상영양실습 겸임교수의 지도하에 다양한 질환별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실습한다. 주요 실습내용은 영양관련 자료수집 및 평가, 영양판정, 진단, 중재, 모니터링 및 평가, 연구 및 자료개발, 환자식 관리 등이다.
전공전임교수 : 부소영 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