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학과 식품학연구실
식품학연구실 - 이미령교수님
나노바이오식품화학 및 유가공학 연구실 (Food Nanobiotechnology and Dairy Chemistry Lab)
주연구분야 (research interests)
Dairy chemistry and engineering (유식품화학 및 가공학), food nanobiotechnology (나노바이오식품화학), food fermentations (발효식품학),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s (기능성 식품학)
Q1. 나노바이오식품화학 (food nanobiotechnology)이 어떤 학문인가요?
식품의 여러 가지 구성 성분 중에서 나노 크기로 재조합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 연구하여 여러 가지 식품산업과 의약학산업에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입니다.
식품 성분을 이용한 나노 소재의 개발은 이미 안전성이 입증된 상태여서 식품 및 생명공학 분야의 활용이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Q2. 나노바이오식품화학 및 유가공학 연구실 (food nanobiotechnology and dairy chemistry Lab)의 주요 연구 분야는?
(1) 나노바이오식품화학 (Food nanobiotechnology)
식품의 여러 가지 구성 성분 중에서 나노 크기로 재조합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 연구하여 소재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in vivo/in vitro 실험을 통해 소화흡수율을 확인하는 연구
(2) Bio-peptide 분리 기술을 이용한 소재 개발
막분리기술을 이용하여 건강기능성을 가진 우유를 분자량에 따라 농축 및 분리함으로써 일반우유로 우유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 보다 생체이용률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연구
(3)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식품 개발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개발을 수행하고, 특정 소재를 활용하여 식품 개발 공정 확립 및 물리화학적, 물성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확인을 산학연 공동으로 진행
Q3. 향후 연구계획은?
우유 단백질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나노 입자의 세포전달 및 흡수 정도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으며 나노 입자를 통한 식품의 이취 등을 줄이는 연구를 진행중 입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식품회사와의 산학연 연계 연구를 통한 식품 및 식품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중 입니다.
Q4. 연구실 구성원 및 졸업생은?
1) 연구실 구성원
박사과정 : 김*송 임상영양사 교육과정 (2024년 석사졸,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 전공)
석사과정 : 이*진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전공
2) 졸업생
우*비 : 현 경상북도 영양교사 재직 중 (2015년 석사 졸)
김*영 : 현 경상북도 영양교사 재직 중 (2017년 석사 졸)
Lola *** : 현, Academy of Drugs and Food analysis Putra Indonesia Malang 교수 (2019년 석사 졸)
양*훈 : 현, 뉴트리케어 Health Care 사업부 연구개발팀 재직 중 (2021년 석사 졸)
김*혜 : 현, 데어리젠 연구개발팀 재직 중 (2023년 석사 졸)
정*민 : 현, 경북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팀 재직 중 (2025년 석사 졸)